포수 대부
포수 대부
Blog Article
KBO 리그는 2024년 격변의 시대를 맞이합니다. 자동구 판정 시스템(ABS), 일명 로봇 심판 시스템이 도입됩니다. 그리고 투구 클럭도 구현될 예정입니다.
더 이상 스트라이크와 볼 판정에 항의할 필요가 없습니다. 기계가 원하는 구역을 찾는 게임입니다. 또한 시간과의 경쟁이기도 합니다. 투수는 정해진 시간 내에 공을 던져야 하고 타자는 타격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모든 포지션 플레이어가 영향을 받겠지만 가장 혼란스러울 수 있는 포지션은 포수입니다. 변화할 존에 따라 공 혼합의 개념 자체가 완전히 바뀌어야 합니다. 이제 공 하나를 놓치는 등 리드가 무의미해질 수 있습니다. 동시에 프레이밍(포수가 공을 잡으면 유리한 판정을 받기 위해 미트를 움직이는 행위)을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포수가 공을 어떻게 잡든 중요한 것은 기계가 시야를 통과하는지 여부입니다. 지면에 닿는 낮은 커브라도 존을 통과하는 한 스트라이크입니다. 블로킹의 중요성은 강조되어야 합니다. 다시 말하지만,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빨리 정신을 차려야 합니다. 체력을 키워야 합니다. 피곤하면 일어나서 숨을 돌릴 시간이 없습니다. 포수는 투구 시계가 끝나기 전에 무슨 일이 있어도 자리에 앉아야 합니다.
그렇다면 새 야구에 적합한 포수는 어떤 종류일까요.
'포수 대부'로 알려진 조범현 전 기아 타이거즈 감독과 KT 위즈 감독에게 물었습니다. "사실 프로팀들은 이미 경기 전 큰 틀에서 주도권을 잡고 상대를 공격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투구 시계의 여파가 투수의 리드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조 감독은 말했습니다. "포수들은 가끔 머리가 아플 때가 있습니다. 어떤 코스를 선택하고 어떤 공을 던질지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단축되고 신중한 판단이 내려지지 않으면 단 하나의 공이 경기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시간 프레임을 고려할 때 벤치 사인을 받기 어렵습니다. 상황을 빠르게 판단하는 선수들에게 유리할 것 같습니다."
그는 블로킹의 중요성도 인정했습니다. "박세웅처럼 커브가 좋은 투수들이 많이 나오면 유리할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포수가 안정적으로 공을 막아야 합니다. 최근 야구의 트렌드는 포수가 블로킹할 때 두 발이 아닌 한 발로 움직이면 발로 움직이는 것입니다. 그래야 속도를 낼 수 있습니다. 골반이 유연한 포수는 블로킹에 있어서 강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라고 조 감독은 덧붙였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문제 중 로봇 심판 도입이 언급될 때 가장 큰 이슈는 프레이밍이었습니다. 룰라벳 롯데 자이언츠 유강남 선수처럼 프레이밍을 잘 해서 '생계를 유지'한 포수들의 가치가 크게 떨어질 것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조 감독의 생각은 달랐습니다. 조 감독은 "로봇 심판의 도입은 포수들이 프레이밍에 주의를 기울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포수들은 평생 해온 습관이 있습니다. 아무 생각 없이 공을 잡으면 다음 던지기 위치를 잡을 수 없습니다. 주자가 없을 때는 상관없지만, 주자가 있다고 가정하면 포수들은 원래 공을 받은 대로 공을 받아야 본능적으로 가장 빠른 던지기 위치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스트라이크로 판정받기 위한 프레이밍보다는 주자를 견제하기 위한 프레이밍이 계속 필요할 것"이라고 조 감독은 설명했습니다.